안녕하세요. 삼공입니다 : )
이번 포스팅에서는 열두 개의 지지 중에서 묘목(卯)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명칭 및 오행 : 묘목(卯), 목(木)
본질 및 성향 : 본질 (+) ,성향 (-)
계절 : 경칩(3월 5일경) / 춘분(3월 20일경) ~ 청명(4월 4일경) 전까지 오차(± 1~2일)
시간 : 새벽 5시30분 ~ 7시30분(한국 기준)
지장간의 구성 :
여기(초기) | 중기 | 본기(정기) | |
고전 | 甲(33%) | 없음 | 乙(67%) |
새로운 패러다임 (대만 명리학자 진춘익) |
없음 | 없음 | 乙(100%) |
특징 및 성격 :
- 을목(100%) 성향이 나타난다고 보면 됩니다.(지장간의 새로운 패러다임)
- 도화(왕지),완연한 봄의 기운
- 성실하고 꼼꼼함, 실속을 챙김, 명랑함, 인정이 많음, 조화로움 추구(지장간이 음간임 - 양간은 조화로움을 별로 좋아하지 않음, 오히려 독단적임)
- 확장력, 다양성, 유연함, 부드럽고 사교성이 좋음, 창의력(갑목은 솟아오르는 힘이라면, 을목은 조금씩 주변을 장악하고 휘어감는 힘이며 생각을 확장해 나가는 힘 - 마인드맵)
- 온순하며 여린 면이 있음(인목은 지장간에 병화라는 무기가 있지만, 묘목은 을목 혼자뿐이고 무기가 없음)
- 여유롭고 천진난만함(시간대가 이미 해가 떠 있기 때문에 서두를 필요가 없음)
- 진취적인 면보다 끈기가 강합니다.
직업 및 물상 : 덩쿨, 꽃, 예술, 기획 및 설계, 조경, 인테리어, 플로리스트, 교육, 출판
운에서 묘목을 만나면 : 확장성, 점진적인 성장(일, 사업, 공부, 사람과의 관계 등 기존의 영역에서 확장되는 느낌)
병존 : 묘묘병존
- 다리와 관련된 사고가 많고, 하체 건강에 주의를 기울여야합니다.
- 고향을 벗어나 객지생활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병존이란 같이 붙어 나란히 있는 것을 의미하고,
병존의 성격이 제일 강하게 드러나는 것은 일지를 포함한 병존
시지 + 일지일 때 제일 특성이 뚜렷함 - 시지가 제일 방해받지 않음》
卯 卯 O O ( O )
O 卯 卯 O ( O )
O O 卯 卯 ( O )
O 卯 O 卯 ( X ) ▶ 한 칸이라도 떨어져 있으면 안 됨.
[천간] 을목(乙) : 유연하지만 외로움 속에서 고군분투 하는 힘
안녕하세요. 삼공입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열 개의 천간 중에서 을목(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명칭 및 오행 : 을목(乙), 목(木)본질 및 성향 : 본질 (+) , 성향 (-)특징 및 성격
samgonglab.tistory.com
♣ 참고문헌 및 출처
강의출처 : 현묘. 『입문』. 철공소
참고문헌 : 초명. 『명리, 나를 지키는 무기 : 기본편』
'명리공부 > 천간과 지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 진토(辰) : 통합과 포용, 큰 뜻을 품은 땅의 힘 (0) | 2025.04.19 |
---|---|
[지지] 인목(寅) : 시작과 도전, 거침없이 나아가는 힘 (0) | 2025.03.29 |
[천간] 계수(癸) : 감정을 꿰뚫는 예민한 감각과 변화의 힘 (2) | 2025.03.04 |
[천간] 임수(壬) : 넓고 깊은 바다처럼 감추어진 지혜의 힘 (5) | 2025.03.03 |
[천간] 신금(辛) : 예리하고 깔끔한 매력의 힘 (6)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