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공부/십신

[십신] 십신의 순환 - 극(剋)

by samgonglab 2025. 2. 12.
반응형

안녕하세요. 삼공입니다 : )
이번 포스팅에서는 십신의 순환에서 생과 극을 삶에 빗대어 해석해 보겠습니다.
두 번째 포스팅은 극입니다.

 

먼저 극에 대한 설명에 앞서 예시를 들 때 다소 극단적인 면이 있으니 참고만 하시고 흐름이 이렇구나라는 것을 알아주시면 되겠습니다.

 

비겁  재성

 

비겁이 재성을 극하는 것은 일간(동료, 경쟁자)이 돈이나 관계적인 면에서 일방적으로 취하는 행동입니다.
모든 사람들은 식상을 거치지 않고 재성을 바로 취하고 싶은 욕구가 있습니다.

 

즉 돈을 벌려는 노력이나 사람들과 서로 호감을 갖는 과정 없이 돈과 관계를 취하고 싶은 욕구입니다. 
극단적인 예시로 주체성이 강한 일간이 부동산, 주식투자 또는 사업을 무리하게 진행해서 돈을 취하려는 행동

또는 일간이 타인의 친구나 연인을 노력 없이 취하려는 행동. 
반대로 경쟁자가 일간의 친구나 연인을 취하는 행동도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행동들은 분명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는 주변의 재성이 너무 많게 되면 비겁이 약해지므로 잡히지 않은 ()들과 관계 속에서 허덕이게 되고, 
그로 인해 
일간의 에너지가 약해지는 모습을 떠올리시면 됩니다.
이런 경우에 일간이 공황장애에 시달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 식상  관성

 

식상이 관성을 극하는 것은 일간이 하고 싶은 행동들이 울타리(직장법규 등) 안에서의 충돌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식상은 행동과 표현이니 직장에서 문제를 제기했는데 그의 대해 순응하지 않고 반격?하여 회사에서 잘리는 것을 떠올리시면 됩니다.
또는 잘못된 행정 법규를 깨어있는 국회의원이 그것을 비판하여 바로 잡는 것도 이것에 해당합니다.   

또는 많은 관성(직장규칙규율)들이 일간으로 하여금 스트레스를 주는 요소일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일간이 하고 싶은 행위(취미나 여유) 하면서 스트레스를 조금 더는 모습도 식상이 관성을 극하는 행위가 되겠습니다.

 

 

▶재성  인성

 

재성이 인성을 극하는 것은 바쁜 재화활동 또는 관계 속에서 생각할 틈도 없이 챗바퀴가 돌아가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분명히 퇴근했는데 다시 출근하고 있는 여러분? 떠올리시면 됩니다. 
많은 ()들과 관계 속에서 일간() 돌보지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돈을 너무 밝히고지나치게 넓고 얕은 인맥만 쌓게 되면 주변에서 일간을 보는 시선이 인품이 없어 보이고
그로 인해 
인복 또한 약해지는 모습이 바로 재극인입니다.

 

▶관성  비겁

 

관성이 비겁을 극하는 것은 쉽습니다. 관성 자체는 울타리(회사, 규칙, 규율)에서 받는 스트레스입니다.

 

또는 울타리 안에서 남의 시선을 자꾸 눈치 보는 것이고, 이러한 스트레스들이 일간을 괴롭히는 모습을 떠올리시면 됩니다.

 

 

▶인성  식상

 

인성이 식상을 극하는 것은 쉽게 표현하면 인품이 좋고 고귀하신 양반이 하고 싶은 행위를 잘못하는 경우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시 풀어보면 생각이 많고 어질고 인품이 있는 양반이 풍류를 즐기고 향락에 빠지는 걸 차마 하지 못하는 것이 바로 이것입니다.
 다른 예시는 집구석에서 생각만 오지게많고 식상( 다른 키워드 : 의식주)에 대한 행위를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극단적으로 히키코모리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생과 극의 순환을 마치면서 극단적인 예시를 들었지만 
자세한 본인의 명식에 대입하려면 신강한지 신약한지 
또는 그 주변의 상황과 십신의 배치도를 잘 이해할 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다양한 십신의 의미들이 있고 또한 육친적인 관계도 있기에 
위의 형태대로 한번 대입해 보시면서 공부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차차 포스팅하겠습니다.

 

반응형

'명리공부 > 십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신] 십신의 순환 - 생(生)  (3) 2025.02.11
[십신] 십신이란?  (0) 2025.02.07